전체 글20 ‘혼자서도 쉽게 배우는 자료조직개론’ 리뷰(개요 및 목차, 내용, 저자 소개) 1. 개요 및 목차 『혼자서도 쉽게 배우는 자료조직개론 제1권 이론편』은 문헌정보학 전공자뿐 아니라 사서직을 준비하는 예비 인력과 현장 실무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실용적 입문서로, 이 분야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저자가 블로그에 연재한 강의 내용을 재구성한 책이다. 저자는 ‘혼자서도 쉽게’라는 제목 그대로, 복잡하고 추상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자료조직 이론을 사례와 비유를 곁들여 이해하기 쉽게 풀어낸다. 본서는 목록과 분류라는 자료조직의 양대 축을 중심으로, 기본 개념부터 현대 정보 환경에서의 응용까지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주제편목·전거제어·메타데이터·FRBR 같은 최근 쟁점을 알기 쉽게 정리했다는 점이 돋보인다. 또한 학술적 엄밀성을 유지하면서도 독자가 실제 현장에서.. 2025. 10. 8. 청구기호 익히기(개요, 별치기호, 도서기호, 주요 저자기호법, 배가) 오늘 공부할 2챕터 제6장 ‘청구기호 익히기’(혼자서도 쉽게 배우는 자료조직개론 제1권 이론편, 전창호 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개요청구기호(call number)란 각각의 도서관 장서를 식별하고 그것의 배가위치를 표시해주기 위해 부여하는 기호의 집합을 뜻한다. 청구기호라는 용어 자체는 과거 폐가제 환경에서 목록을 검색해 자신이 원하는 자료가 소장되어 있음을 확인한 이용자가 서고에 배가된 그 자료를 사서에게 청구(call)하여 열람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구기호는 일반적으로 별치기호, 분류기호, 도서기호, 부차적 기호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별치기호: 소재기호라고도 하며 자료의 성격이나 형태, 이용목적을 고려하여 별도의 서고에 배가할 경우 그 장소를 기호로 표현하는 것을 말.. 2025. 10. 8. 한국십진분류법 익히기(본표와 보조표, 분류기호의 조합, 문학자료의 분류) 오늘 공부할 2챕터 제5장 ‘한국십진분류법 익히기’(혼자서도 쉽게 배우는 자료조직개론 제1권 이론편, 전창호 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본표와 보조표 한국십진분류법(KDC) 본표의 주류배열의 순서는 DDC에 근거하며, 다음과 같다.000 총류100 철학200 종교300 사회과학400 자연과학500 기술과학600 예술700 언어800 문학900 역사 관종이나 주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자료의 복수분류가 가능할 경우, KDC에서는 양자택일주를 통해 도서관의 필요에 따라 택일하여 분류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ex. 368 기타 제법률 특수법률 및 법령은 해당주제 아래에 분류한다. 도서관에 따라 –023(법령 및 규정)을 부가할 수 있다. 예: 교통법 326.3023 별법:.. 2025. 10. 7. 분류의 역사 돌아보기(서양 자료분류의 발달과정, 동양 자료분류의 발달과정) 오늘 공부할 2챕터 제4장 ‘분류의 역사 돌아보기’(혼자서도 쉽게 배우는 자료조직개론 제1권 이론편, 전창호 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서양 자료분류의 발달과정분류와 목록의 역사는 도서관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 듀이십진분류법(DDC), 미국의회도서관분류법(LCC), 국제십진분류법(UDC)의 3대 분류법을 중심으로 서양의 주요 분류법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1. 게스너의 분류법스위스의 박물학자였던 게스너는 당시 전 세계에 산재한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문헌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배열한 ‘세계서지’를 편찬했다. 세계서지는 학문분류를 목록의 배열에 응용한 세계 최초의 서지분류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2. 노데의 분류법프랑스의 서지학자이자 마자랭도서관 사서였던 노데는 병사들을 모아놓았다고 .. 2025. 10. 5. 분류업무 익히기(서론 및 주제분석, 일반규정 및 특별규정) 오늘 공부할 2챕터 제3장 ‘분류업무 익히기’(혼자서도 쉽게 배우는 자료조직개론 제1권 이론편, 전창호 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서론 및 주제분석자료선정 과정을 통해 구입, 수증, 교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서업무 부서에 입수된 자료들은 소정의 수입순 일련번호(등록번호)를 부여하여 도서관의 자산으로 등록한 후 이를 정리업무 부서로 인계한다. 정리업무 부서에서는 인수한 자료를 검수하여 날인 작업 등을 통해 이 자료가 도서관의 자산임을 나타내고, 분류 및 편목의 자료조직 업무를 거쳐 배가와 대출을 위해 자료조직의 결과물로 출력된 각종 레이블 등을 자료에 부착하여 열람업무 부서로 인계한다. 분류업무란 좁은 의미로는 도서관에서 채용한 자료분류표에 기초하여 정해진 분류규정에 따라 적절한 분류기호를 .. 2025. 10. 4. 분류표 살펴보기(주요 내용, 요점 정리 및 느낀 점) A. 주요 내용오늘 공부할 2챕터 제2장 ‘분류표 살펴보기’(혼자서도 쉽게 배우는 자료조직개론 제1권 이론편, 전창호 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 도서관 내에서 똑같은 자료를 대상으로 누가 편목하더라도 최대한 똑같은 결과물(목록)을 만들기 위해 편목규칙이 필요하듯, 한 도서관 내에서 똑같은 자료를 대상으로 누가 분류하더라도 최대한 똑같은 결과물(분류기호)를 만들기 위해서는 자료분류표가 필요하다. 자료분류표는 분류원리와 목적에 따라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배열하기 위한 분류기호와 분류명사의 일람표를 말한다. 사서는 자기 마음대로 임의의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분류표에 근거하여 도서관자료를 분류해야 한다. 자료분류표의 핵심은 분류기호이다. 분류기호란 특정 주제를 확인하고 서가상이나 목록상의.. 2025. 9. 2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