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

도서관의 발전과정(목차 및 개요, 내용, 느낀 점) 1. 목차 및 개요 오늘 공부할 문헌정보학개론(김수경 외, 2024, 태일사)은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장 ‘도서관의 발전과정’은 아래와 같이 3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다. 단, 우리나라 도서관의 발전 부분은 해방 이후에 한한다. 1. 도서관의 역사(서양의 도서관, 동양의 도서관) 2. 우리나라 도서관의 발전(우리나라 도서관의 역사, 도서관 관련 법령 및 정책의 발달) 3. 도서관 발전의 의미(도서관의 정의, 변화하는 도서관) 문헌정보학은 본래 도서관과 사서들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성립된 학문으로 도서관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다. 이하에서는 동양, 서양 및 우리나라 도서관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통해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화된 도서관의 모습을 살펴본다. 아울러 오늘날 .. 2025. 8. 15.
지식정보와 커뮤니케이션(공부 이유 및 목차, 내용, 느낀 점) 1. 공부 이유 및 목차 도서관에 근무하는 문헌정보학 비전공자로서 도서관 운영의 기본원리를 담고 있는 문헌정보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이 책(문헌정보학개론, 김수경 외, 2024, 태일사)을 대출하여 읽게 되었다. 도서관에서 일한 지 10여 년이 흐른 어느 날 문득 나는 도서관에 대해 잘 모른다는 걸 깨달았다. 컨베이어 벨트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하루 종일 하나의 부품 조립만 할 뿐 전체 공정을 통해 어떻게 자동차가 만들어지는지 잘 모르듯이 말이다. 사실 자신이 일하는 직장의 전체 공정이나 업의 본질을 알지 못해도 세상 살아가는 데 별다른 문제는 없다. 다만 누군가 당신의 직장은 어떤 곳인지 물었을 때 적어도 어떤 목적으로, 어떤 구조로 돌아가고 있는지 어느 정도는 말해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은 것뿐이.. 2025.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