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공부할 2챕터 제5장 ‘한국십진분류법 익히기’(혼자서도 쉽게 배우는 자료조직개론 제1권 이론편, 전창호 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본표와 보조표
한국십진분류법(KDC) 본표의 주류배열의 순서는 DDC에 근거하며, 다음과 같다.
000 총류
100 철학
200 종교
300 사회과학
400 자연과학
500 기술과학
600 예술
700 언어
800 문학
900 역사
관종이나 주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자료의 복수분류가 가능할 경우, KDC에서는 양자택일주를 통해 도서관의 필요에 따라 택일하여 분류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ex. 368 기타 제법률
특수법률 및 법령은 해당주제 아래에 분류한다.
도서관에 따라 –023(법령 및 규정)을 부가할 수 있다. 예: 교통법 326.3023
별법: 특수법을 한 곳에 모을 필요가 있는 도서관에서는 368 다음에 0을 부가하고 001-999와 같이 주제구분할 수 있다. 예: 도서관법 368.002; 정당법 368.0346
KDC는 기본적으로 열거식분류표이지만 분류표의 경량화를 위해 분석합성식 원리를 대거 도입하였다. 본표에서 분류기호의 세분전개가 필요한 경우 표준형식, 지역, 언어 등 조기표의 보조기호를 부가하도록 주기를 통해 지시하고 있다.
ex. 365 민법
사법일반, 보통법 등을 포함한다. 365.001-,009는 표준구분한다
.01-07. 각국민법
지역구분표에 따라 세분한다. 예: 일본민법 365.013, 한국민법 365.011
KDC에는 조기표라는 명칭의 보조표가 있다. 보조표란 자료의 일반적 구성형식이나 특별한 주제 내에서 공통성을 가지는 것에 대한 공통적인 기호를 배당하여 조직한 표를 말한다. KDC 조기표의 보조기호들은 독립적인 주분류기호로 사용할 수 없다. 조기표에는 아래와 같이 6가지 종류가 있다.
표준구분표 2. 지역구분표 3. 국어구분표 4. 문학형식구분표 5. 언어공통구분표 6. 종교공통구분표
1. 표준구분표
KDC의 첫 번째 보조표는 표준구분표이다. 표준구분표는 주제를 표현하는 특수한 형식을 세분한 기호로 –01부터 –09까지 9가지로 나눌 수 있다. 표준구분표에서 자주 사용되는 주요 보조기호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01 한 주제를 척학적 또는 이론적으로 파고든 저작
-02 한 주제나 업무에 대해 잘 모를 때 참고하기 위한 편람, 법령집, 도감 등의 자료
-03 한 주제에 관한 사전, 용어집, 백과사전
-04 한 주제에 대해 비교적 가볍고 자유로운 형식으로 쓴 저작
-05 한 주제에 과한 잡지 등의 연속간행물
-06 한 주제의 단체, 기관에서 펴낸 자료이거나 경영을 다룬 저작
-07 한 주제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 가르치기 위한 방법을 다룬 저작
-08 한 주제에 관한 전집, 총서
-09 한 주제에 관한 역사적 관점의 저작이거나 한 주제를 특정 시대, 특정 지역으로 한정하여 다룬 저작
2. 지역구분표
지역구분은 대상자료의 주제가 특정지역으로 한정되어 취급되었을 경우 그 지역을 기호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 지역구분표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아시아
-11 한국
-12 중국
-13 일본......
-2 유럽
-21 고대 그리스
-22 고대 로마
-23 스칸디나비아......
3. 국어구분표
국어구분은 본표의 언어(700) 내의 각 국어를 표시하는 기호를 다른 주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기호를 말한다.
-1 한국어
-2 중국어
-3 일본어......
4. 문학형식구분표
문학형식구분표는 문학(800)에서 형식을 구분할 때 사용하는 조기표로 다음과 같다.
-1 시
-2 희곡
-3 소설......
5. 언어공통구분표
언어공통구분은 본표의 언어(700)에서 각 국어에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형식 구분으로 다음과 같다.
-3 사전
-5 문법
ex. 일본어어원사전 732 + 03 = 732.03, 독일어문법해설 750 + 5 = 755
6. 종교공통구분표
-3 경전
-7 예배, 의식
ex. 코란의 이해 280 + 3 = 283, 교회 주일예배 230 + 7 = 237
B. 분류기호의 조합
주분류기호에 보조기호를 부가하는 방식은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본표에서 조기표를 사용하라는 직접적인 지시가 있는 경우, 둘째, 직접적인 지시가 없으나 간접적인 전개근거가 있는 경우, 셋째, 아무런 전개지시나 전개근거가 없는 경우.
1. 직접적인 전개지시
ex. 377 대학, 전문, 고등교육
377.001-,009는 표준구분에 따라 세분한다.
편람은 표준구분표에서 –021에 해당
-02 잡저
-021 편람, 핸드북, 포켓북
-022 스크랩북, 클리핑 등
따라서 대학편람은 377 + 00(은 고정기호이므로 기본적으로 붙임) + 표준구분표에서 –0 다음에 있는 21을 첨가 = 377.0021 = 대학편람
2. 간접적인 전개근거
본표에서 조기표를 사용하라는 직접적인 전개지시는 없지만, 본표가 조기표(특히 표준구분표)의 배열체계를 따르고 있는 경우 이를 간접적인 전개근거로 판단하여 조기표를 준용, 즉, 하위주제에 열거된 분류항목의 상당수가 표준구분표의 체계와 일치할 경우에는 이를 ‘표준구분한다’라는 직접적인 지시와 동일하다고 판단하면 된다.
3. 전개지시나 전개근거가 없는 경우
이 경우 보조기호를 조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보조기호를 부가함으로써 서가관리나 이용자에게 더 유용할 것이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분류사서의 재량으로 표준구분표의 모든 보조기호를 조합할 수 있다.
C. 문학자료의 분류
KDC는 기본적으로 열거식분류표이지만 문학 주제의 분류방법은 분석합성식분류 원리에 가깝다. 문학은 다른 주류와는 달리 주제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로 분류하고 형식으로 세분한다. 여기서 언어라 함은 본문에 기술된 문자가 아니라 원작에 기술된 문자를 기준으로 한다. KDC에서 문학류의 분류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공식에 따라 기호를 조합한다.
8 + 언어 + 문학형식 + 시대구분 + 하위형식
ex. 810 한국문학, 820 중국문학, 830 일본 및 기타 아시아 문학......
ex. 813 (한국)소설
.4 고려시대
.5 조선시대......
.6 20세기, 1910-1999
ex. 813 (한국)소설
.6 20세기, 1910-1999
별법: 도서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추가 세분할 수 있다.
.602 단편소설
.603 역사, 전기 소설
.604 정치, 사회 소설......
=> 봄봄 – 김유정 단편집 = 813.602 = 8(문학류) + 13(한국어) + 6(20세기) + 02(단편집)
'문헌정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서도 쉽게 배우는 자료조직개론’ 리뷰(개요 및 목차, 내용, 저자 소개) (0) | 2025.10.08 |
---|---|
청구기호 익히기(개요, 별치기호, 도서기호, 주요 저자기호법, 배가) (0) | 2025.10.08 |
분류의 역사 돌아보기(서양 자료분류의 발달과정, 동양 자료분류의 발달과정) (0) | 2025.10.05 |
분류업무 익히기(서론 및 주제분석, 일반규정 및 특별규정) (0) | 2025.10.04 |
분류표 살펴보기(주요 내용, 요점 정리 및 느낀 점) (0) | 2025.09.21 |